다당류로 면역반응 조절 연구 성과 네이처리뷰바이오엔지니어링 게재
엔지니어링된 다당류를 통한 면역반응 조절 연구

AI 요약
▲(사진 왼쪽부터) 손세진 생명과학과 교수, 김기동, 백주원, 문정현 석박사 통합과정 학생.
손세진 교수 연구팀, 네이처리뷰바이오엔지니어링에 연구 성과 게재 손세진 생명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면역바이오의약연구실이 최근 '네이처리뷰바이오엔지니어링'에 연구 성과를 게재했습니다. 이번 논문은 선천성 및 후천성 면역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엔지니어링된 다당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2024년 6월호에 실릴 예정입니다. 이번 연구에는 제1 저자인 김기동 석박사 통합과정 학생을 비롯해, 공동 저자인 백주원 학생과 문정현 석박사 통합과정 학생이 참여했습니다. 논문은 다당류를 면역활성제로 활용하는 중요한 기본 원리를 담았으며, 백신, 면역 활성제, 면역 조절, 약물 전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을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다당류를 엔지니어링해 면역반응을 활성화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강조했습니다. 네이처리뷰바이오엔지니어링은 생물학적 지식을 실제로 활용하는 바이오엔지니어링 솔루션을 다루는 고품질 리뷰 학술지로, 네이처의 자매지로 알려졌습니다. 손세진 교수의 이전 논문인 '병원체 모방 고분자 나노입자에 의한 T-헬퍼-17 세포 매개 항종양 면역 유도'에 기반해 이번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연구가 학계와 산업계에 미칠 영향은 매우 크다고 평가됩니다. 연구팀은 이번 논문이 자가면역질환과 다양한 질병에 대한 면역 요법 및 백신 개발 분야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손세진 교수는 "다당류를 통한 면역 시스템의 조절 가능성에 대한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며 "앞으로도 다당류 엔지니어링 기술을 응용한 백신 및 면역 요법을 개발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우수 신진 연구자 지원사업과 산업통상자원부, 방위사업청 민군협력진흥원이 지원하였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연구의 성공적인 진행과 성과를 이끄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