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현
백성현
소속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이차전지융합학과 백성현 교수의 주요 연구 성과를 소개합니다. 백성현 교수는 전기화학적 증착법을 활용한 박막 제조, 스피넬 구조 고용체를 이용한 이차전지 공기전극 개발, 그리고 바이모달 세공구조 탈알킬화 촉매 연구 등 다양한 첨단 신소재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계십니다. 특히 이차전지 및 촉매 재료 분야에서 에너지 저장 효율 향상과 환경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중요한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계십니다. 본 정보는 그의 심층적인 연구 전문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릴 것입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백성현 |
직책 | 교수 |
이메일 | shbaeck@inha.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인하대학교 |
부서 학과 | 화학공학과 |
사무실 번호 | - |
연구실 | 에너지환경기술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e2tlabinha.wixsite.com/e2tlab |
홈페이지 | - |
경력정보
회사명 | University of California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2002.09 ~ 2004.08 ㅣ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California Assistant Research Engineer |
회사명 |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2001.04 ~ 2002.08 ㅣ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Visiting Post-doc |
회사명 | 호남석유화학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1998.02 ~ 2001.03 ㅣ 호남석유화학 선임연구원 |
중요 키워드
#촉매#박막#전기화학#환경 정화#전극 재료#탈알킬화#화학 공정#스피넬 구조#전자빔#이차전지#플라즈마#신소재#유해가스 처리#나노재료#에너지 저장
대외활동
활동 내용 | [서훈/표창/수상] 2016 추계 화학공학회 우수 포스터 발표상, 한국화학공학회, 2016.10.21. 2016 Nano korea 포스터 발표상, Nano korea 2016, 2016.07.15. 2016 춘계 공업화학회 우수 포스터 발표상, 한국 공업화학회, 2016.05.03. 2016 춘계 화학공학회 우수 포스터 발표상, 한국화학공학회, 2016.04.29. 2015 추계 화학공학회 우수 포스터 발표상, 한국화학공학회, 2015.10.23. 2015 춘계 공업화학회 우수논문상, 한국공업화학회, 2015.05.01. 2015 춘계 화학공학회 우수 포스터 발표상, 한국화학공학회, 2015.04.24. 2014 추계화학공학회 우수포스터발표상, 한국화학공학회, 2014.10.23. |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전기화학 에너지 재료 및 환경 촉매 세부 분야: 이차전지 전극 재료, 유해가스 처리 촉매, 박막 제조 기술, 신규 촉매 개발 [대표 연구 내용] 문제 정의: 기존 에너지 저장 장치 및 환경 정화 기술의 한계는 높은 제조 비용, 낮은 효율성, 그리고 유해 물질 발생 등의 문제점을 내포합니다. 특히, 차세대 이차전지의 고성능화와 유해가스 저감 기술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기술 우위: 본 연구팀은 전기화학적 증착, 스피넬 구조 고용체 합성, 바이모달 세공 구조 촉매 개발, 전자빔 조사 기술, 저온 플라즈마-촉매 복합 반응기 등 혁신적인 재료 합성 및 공정 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대비 월등히 높은 반응 활성, 에너지 저장 능력, 그리고 공정 효율성을 달성합니다. 예를 들어, 스피넬 구조 고용체를 이용한 공기전극은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과전압을 낮추어 향상된 충·방전 성능을 제공하며, 바이모달 세공 구조 촉매는 저온에서도 C9+ 방향족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탈알킬화하여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감합니다. 사업 가치: 개발된 기술들은 고성능 리튬 이차전지, 초고용량 커패시터, 친환경 촉매, 그리고 효율적인 유해가스 처리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경제적 가치와 환경적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특히, 공정 단순화 및 비용 절감 효과는 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물질 생산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1992.02 서울대학교(학사)/화학공학 1994.02 서울대학교(석사)/촉매 및 반응공학 1998.02 서울대학교(박사)/촉매 및 반응공학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