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균
김창균
소속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김창균 교수는 난분해성 유해물질인 1,4-다이옥산의 폐수 처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펜턴 산화 및 생물학적 제거 방법을 활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1,4-다이옥산 함유 폐수를 고효율로 처리하는 기술을 개발하셨습니다. 이는 오염물질 제거의 한계를 극복하고 깨끗한 수질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김창균 교수의 연구는 산업 폐수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창균 |
직책 | 교수 |
이메일 |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인하대학교 |
부서 학과 | 환경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328607561 |
연구실 | 토양 및 지하수 관리 연구실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hs.inha.ac.kr/~cgk/ |
홈페이지 | - |
경력정보
회사명 | RIST |
재직기간 | 1989.01.01 ~ 1994.12.31 |
담당업무 | 선임연구원 |
회사명 | RIST |
재직기간 | 1997.01.01 ~ 1999.12.31 |
담당업무 | 선임연구원 |
회사명 | 인하대학교 CCEYS |
재직기간 | 1999.01.01 ~ 2002.12.31 |
담당업무 | 연구교수 |
회사명 |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재직기간 | 2003.01.01 ~ 재직 중 |
담당업무 | 교수 고도수처리연구센타장 (2011-) 환경연구소장 (2011-) 생활관장 (2013-) |
중요 키워드
#미세분말#생물학적 처리#1,4-다이옥산#폴리에스테르 폐수#폴리에스테르#펜턴 산화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핵심 분야: 토양 및 지하수 오염 관리 세부 분야: 미세플라스틱 처리, 혐기성 소화, 환경복원기술, 유해화학물질 분해 [대표 연구 내용] 김창균 교수(Kim Chang Gyun)는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 관리 및 복원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환경공학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에서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해폐기물 매립장 내 지하수 오염물질의 이동 거동 분석을 통해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후 혐기성 소화 기반 바이오가스 생산, 미세플라스틱 및 1,4-다이옥산 제거 등 다양한 폐기물 자원화 및 오염물질 처리 기술을 개발해왔습니다. 최근에는 미세플라스틱과 바이오플라스틱의 혐기성 분해 조건 최적화, 광촉매 기반 분해, 머신러닝을 활용한 수질 인자 예측 등에 관한 연구 성과를 국제 저널(ACS ES&T Water, Waste Management, Environmental Research)에 다수 발표하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기술서적(『폐기물자원화-바이오가스 생산 및 활용』, 2010)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대한환경공학회 및 일본수환경학회에서 수상 경력을 통해 국내외 학술 활동에서도 인정받고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호주 U. of Queensland 토목공학과 공박사 (2000) 인하대학교 화학공학과 공석사 (1989) 인하대학교 환경공학과 공학사 (1987)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