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수
김응수
소속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첨단바이오의약학과 김응수 교수님은 생명공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교수님의 연구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건강 및 농업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안트라닐레이트 조성물 개발을 통해 탈모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NPP B1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연구를 통해 신종 바이러스 감염병 대응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농업 분야에서는 식물 병원성 진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신규 방선균 균주(스트렙토마이세스 콜리너스, 스트렙토마이세스 자벤시스 등) 및 생물농약 개발에 주력하고 계십니다. 미생물 대사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안트라닐레이트와 사이클로스포린 A와 같은 유용 생리활성 물질의 고생산 시스템을 구축하시어 산업적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김응수 교수님의 다각적인 연구는 바이오 신소재 개발과 생명공학 기술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기본 정보
연구자 프로필 | ![]() |
연구자 명 | 김응수 |
직책 | 교수 |
이메일 | eungsoo@inha.ac.kr |
재직 상태 | 재직 중 |
소속 | 인하대학교 |
부서 학과 | 생명공학과 |
사무실 번호 | 0328608318 |
연구실 | 미생물분자생물공학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actino.inha.ac.kr/user/actino/ |
홈페이지 | https://actino.inha.ac.kr/user/actino/ |
경력정보
회사명 | 한국외국어대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1997.03 ~ 1998.02 ㅣ 한국외국어대 전임강사 1998.03 ~ 2001.08 ㅣ 한국외국어대 조교수 |
회사명 | 스탠포드대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1995.01 ~ 1997.02 ㅣ 스탠포드대 박사후 연구원 |
회사명 | 미네소타대 |
재직기간 | - |
담당업무 | 1994.10 ~ 1994.12 ㅣ 미네소타대 박사후 연구원 |
중요 키워드
#기술사업화#재조합 미생물#NPP B1#사이클로스포린#첨단바이오#모발 성장#바이오의약#생물농약#발효공정#항진균#방선균#안트라닐레이트#항바이러스#대사공학
주요 연구 내용
연구 내용 | [연구 분야] 생명공학, 미생물학, 의약품 개발, 농업생명공학 [대표 연구 내용] 김응수 교수는 생명공학 및 미생물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인류 건강 증진과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모발 성장 촉진 기술 개발에서는 기존 시키메이트 대사체 중 안트라닐레이트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였습니다. 이는 새로운 모발 성장 촉진 조성물 개발의 기반이 되어 관련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신규 방선균 발굴 및 활용 연구를 통해 항진균 활성이 우수한 폴리엔 화합물을 생산하는 방선균을 선별하고, 유전체 해독 및 배양 공정 최적화를 통해 생물농약으로 실용화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식물 병원성 진균 제어에 효과적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콜리너스 Inha504 및 스트렙토마이세스 자벤시스 Inha503 균주를 개발하여 친환경 농업 솔루션 제공에 기여합니다. 항바이러스 조성물 개발 분야에서는 NPP B1이 코로나바이러스를 비롯한 외피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바이러스 복제에 필수적인 효소인 RdRp를 표적으로 함으로써 항바이러스 치료제로서의 높은 활용 가치를 입증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고생산 재조합 대장균 균주 개발을 통해 유용 물질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안트라닐레이트 고생산 재조합 대장균 균주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여 기존 최고 생산 수율을 경신하였으며, 이는 안트라닐레이트뿐만 아니라 유용 시키메이트 경로 대사체들의 대량 생산을 위한 핵심 기반 기술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톨리포클라디움 니베움에서 사이클로스포린 대량 생산 방법을 확립하여 면역억제제 및 항진균제의 안정적인 공급에도 기여합니다. 김응수 교수의 연구는 바이오 신소재 개발, 질병 치료제, 친환경 농업 분야에 걸쳐 폭넓은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학력
학력 사항 | 1987.02 서울대학교(학사)/공업화학 1989.09 Iowa State Univ. (석사)/생화학 1994.10 Univ. of Minnesota(박사)/미생물학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