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하대학교 첨단바이오의약학과 김현진 부교수의 상세 프로필 정보입니다. 본 프로필은 김현진 교수님의 소속, 직위 등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참여 과제, 논문, 특허, 연구 내용 등 더욱 풍부한 최신 정보가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교수님의 전문 분야와 학술 활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보완해 나갈 것입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현진 |
| 직책 | 부교수 |
| 이메일 | kimhyunjin@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첨단바이오의약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7537 |
| 연구실 | 나노메디슨재료연구실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www.hjkimlab.com/ |
| 홈페이지 | https://www.hjkimlab.com/members |
| 소속 | 인하대학교 |
| 회사명 | 동경대학교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4.11 ~ 2020.08 ㅣ 동경대학교 연구조교수 2010.10 ~ 2013.03 ㅣ 동경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 회사명 | UC Berkeley |
| 재직기간 | - |
| 담당업무 | 2013.03 ~ 2014.10 ㅣ UC Berkeley 박사후연구원 |
| 연구 1 | 나노 의약품 개발 및 질환 치료 응용 |
| 내용 | 김현진 교수 연구실은 난치성 종양, 유전성 질환, 신경 퇴행성 질환 등 치료가 어려운 질병들을 위한 혁신적인 나노 의약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질병의 특정 부위를 표적하여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정밀 치료 접근 방식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소분자 약물, 항체, 핵산(mRNA, siRNA 등)과 같은 다양한 치료제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나노 캐리어를 설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연구실은 나노 의약품이 생체 내에서 표적 장기나 세포에 어떻게 정확하게 전달되고 축적되는지 심도 깊게 연구하며, 이러한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개발된 나노 의약품은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되어 환자 삶의 질 향상과 의학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
| 연구 2 | 고분자 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 |
| 내용 | 본 연구실은 핵산(mRNA, siRNA, Cas9 RNP, Antisense Oligonucleotides) 및 단백질을 포함한 다양한 약물 후보 물질의 효율적인 생체 내 전달을 위한 고분자 기반 나노 입자 시스템 개발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양이온성 폴리머, 양친매성 폴리펩타이드 등 다기능성 고분자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약물이 표적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도달하도록 유도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Rna 전달용 양이온성 양친매성 폴리펩타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특허는 본 연구실의 핵심 역량을 잘 보여줍니다. 나노 캐리어가 생체 내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고, 혈액-뇌 장벽과 같은 난관을 극복하며, 특정 세포나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될 수 있도록 고분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정교하게 조절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약물 전달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치료, 암 치료, 신경 질환 치료 등 첨단 바이오 의약 분야에서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협력 파트너에게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을 제공할 것입니다. |
| 연구 3 | 생체 재료 및 분자 자기 조립 |
| 내용 | 김현진 교수 연구실은 첨단 나노 의약품 개발의 근간이 되는 생체 재료의 설계 및 분자 자기 조립 메커니즘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고분자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생체 친화적이고 기능성이 뛰어난 재료를 개발하며, 이러한 재료들이 자발적으로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는 분자 자기 조립 현상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연구의 핵심은 나노 의약품이 표적 장기나 세포에 정확히 축적되고, 생체 내 환경 변화에 반응하여 약물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도록 다기능성 고분자를 설계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분자의 화학적 구조, 형태, 표면 특성 등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생체 내에서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주력합니다. 구글 스칼라에 언급된 논문('Fine-Tuning of Hydrophobicity in Amphiphilic Polyaspartamide Derivatives for Rapid and Transient Expression of Messenger RNA Directed Toward Genome Engineering in Brain')들은 본 연구실이 분자 수준의 제어를 통해 생체 내 약물 전달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소재 개발과 약물 전달 효율 증진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을 제공하며,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쳐 큰 파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 학력 사항 | 2005.02 서울대학교(학사)/화학생물공학부 2007.02 서울대학교(석사)/화학생물공학부 2010.09 東京大學(박사)/재료공학부 |
보유 기술 로딩 중...
보유 기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