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인하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장경희 교수는 미래 통신 시스템의 핵심 난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복잡한 통신 환경에서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계십니다. 장경희 교수의 주요 특허는 V2X 및 5G/6G 기반 교통안전성 향상, 딥러닝 기반 비지상망 통신 성능 개선, 무인 항공기(드론) 감지 및 추적 기술, 그리고 공공안전망(PS-LTE/LTE-R)의 자원 할당 및 간섭 관리 등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합니다.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을 접목하여 자율주행, 스마트 모빌리티, 차세대 무선 통신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프로필에서 장경희 교수의 독보적인 기술 연구와 성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장경희 |
| 직책 | 교수 |
| 이메일 | khchang@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전자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8422 |
| 연구실 | MTR Lab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mtrl-lab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mtrl-lab/members/professor?authuser=0 |
| 소속 | 인하대학교 |
| 회사명 | 인하대학교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교수 |
| 회사명 | 5G 포럼 교통융합위원회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위원장 - 위원회 활동 주도 (정례회의, 워크샵 개최 등) - 5G 프로모션, 국제협력 채널 마련 - 5G 융합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5G 융합서비스 실증사업 지원 활동 참여 및 총괄 - 5GAA(5G Automotive Association), ITS-Korea와의 MoU 체결 참여 (2019년 1월 31일) - 중국 IMT2020PG C-V2X WG, 일본 5GMF와의 MoU 추진 |
| 회사명 | 5G 포럼 집행위원회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위원 |
| 연구 1 | 6G 및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5G를 넘어 6G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 기술 개발에 주력하며 미래 무선 통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복잡한 통신 환경에서의 링크 성능 최적화와 네트워크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탐구합니다. 딥러닝 기반 채널 추정 및 도플러 보상 기법을 활용하여 6G 비지상망(NTN) 환경에서의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초고속 이동성을 지원하는 채널 등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6G 비지상망 통신 성능 개선, 대용량 데이터 처리 및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물리 계층 기술, 그리고 동적 자원 할당 및 RAN 슬라이싱 전략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을 접목하여 자율주행, 스마트 모빌리티, IoT 등 다양한 융합 서비스에 필요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통신 인프라 구축에 기여합니다. 궁극적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는 데 이바지합니다. |
| 연구 2 | AI 기반 V2X 통신 및 스마트 모빌리티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에 접목하여 자율주행 및 스마트 모빌리티 환경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차량, 보행자, 인프라 간의 실시간 정보 교환을 통해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고 잠재적인 충돌 위험을 예측 및 회피하는 시스템 개발에 집중합니다. 딥러닝 기반 강화 학습(DRL)을 활용한 교차로 교통관리 시스템은 차량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교통 체증을 완화하는 데 기여하며, 보행자 안전을 위한 협력형 경고 신호 전송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교통 약자를 보호합니다. 특히, V2I(Vehicle-to-Infrastructure) 통신과 머신러닝 기반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안전성 향상 방법과 시스템은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위험 상황을 식별하고 경고하는 지능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5G-NR V2V(Vehicle-to-Vehicle) 통신 신뢰성 향상을 위한 그룹캐스팅 및 자원 관리 기술을 통해 긴급 차량 통신 및 협력 자율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자율주행 서비스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스마트 도시 및 모빌리티 환경을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합니다. |
| 연구 3 | 드론 및 공공안전 통신망 지능화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무인 항공기(드론) 기반 시스템과 공공안전 통신망(PS-LTE/LTE-R)의 지능화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불법 드론의 감지, 추적 및 퇴치를 위한 감시 드론 애드혹 네트워크 설계 기술을 개발하여 국방 및 보안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음향원형마이크로폰 배열안테나 빔형성 및 HMM(Hidden Markov Model) 기반 불법 드론 분류 및 위치 추적 기술은 무인 시스템의 운용 안정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재난 상황 등 위급 시 활용되는 공공안전망(PS-LTE)과 철도 통신망(LTE-R)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자원 할당 및 간섭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협력 통신 기법들을 연구합니다. 사용자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한 자원 할당 및 로드 밸런싱 기술은 비상 상황에서의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하며, IoT 센서 네트워크와 연동된 다중 UAV 경로 계획은 재난 지역 통신 복구 및 감시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는 드론 및 IoT 기술을 공공안전망에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며, 스마트 시티 구현에 필수적인 요소 기술을 개발합니다. |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장경희 교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공로로 '대통령표창' 수상 [학회/위원회 활동] - 2023년도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프로그램 참여 |
| 학력 사항 | Yonsei University, B.S., Electronics Engineering, 1985 Yonsei University, M.S., Electronics Engineering, 1987 Texas A&M University, Ph.D., Electrical Engineering, 1992 |
보유 기술 로딩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