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진
김영진
소속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AI요약
인하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김영진 조교수는 단말의 자원과 AI 학습 모델을 동시에 최적화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효율성과 정확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시스템 성능을 극대화하는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파일 접근 패턴을 예측하여 효율적인 파일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관련 특허도 공개하였습니다. 김영진 교수의 연구는 AI 기반 스마트 기기의 성능 향상과 사용자 편의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의 선도적인 연구는 미래 디지털 환경의 핵심 기술 발전을 이끌어갑니다.
기본 정보
| 연구자 프로필 | ![]() |
| 연구자 명 | 김영진 |
| 직책 | 조교수 |
| 이메일 | yj.kim@inha.ac.kr |
| 재직 상태 | 재직 중 |
| 부서 학과 | 전자공학과 |
| 사무실 번호 | 0328607399 |
| 연구실 | Intelligent Cloud & Network |
| 연구실 홈페이지 | http://sites.google.com/view/yeongjinkim |
| 홈페이지 | https://sites.google.com/view/yeongjinkim/members?authuser=0 |
| 소속 | 인하대학교 |
경력정보
| 회사명 | 인하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 재직기간 | 재직 중 |
| 담당업무 | 인하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조교수로서 인공지능융합대학원 교육과정에 참여하며, 지능형클라우드 및 엣지컴퓨팅 분야를 연구. 모바일 기기의 자원 최적화 및 학습 모델 효율화, 지능형 파일 관리 시스템 개발 등 실제 응용 가능한 기술 개발에 주력. |
중요 키워드
#자원최적화#기계학습#기술사업화#스마트기기#모바일파일관리#딥러닝#인공지능#산학협력#알고리즘#5G#네트워크최적화#컴퓨터비전#엣지컴퓨팅#클라우드컴퓨팅#무선통신
연구 분야
| 연구 1 | 모바일 및 엣지 AI 시스템 최적화 |
| 내용 | 본 연구실은 제한된 자원을 가진 모바일 기기와 엣지 환경에서 인공지능(AI) 모델의 성능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AI 학습 모델과 모바일 기기 자원을 동시에 최적화하여 에너지 효율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딥러닝 모델의 실시간 분할(DNN model partitioning) 및 자원 스케일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모바일 비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품질을 향상시키고, 6G 비전 서비스와 같은 차세대 응용 분야에서 모바일-클라우드 간 확장 가능한 통합 학습 모델을 구축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기기의 성능 한계를 극복하고 AI 기반 서비스의 실질적인 활용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추론-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모바일-엣지 컴퓨팅 기술 개발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응용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며, 인공지능이 엣지 기기에서 더욱 지능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AI 기반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사용자 편의 증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 연구 2 | 지능형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자원 관리 |
| 내용 | 본 연구실은 클라우드 컴퓨팅 및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네트워킹 문제에 대한 알고리즘적, 실용적 솔루션 개발 및 성능 분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5G/6G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위한 동적 자원 할당 기술과 AI-Native 응용 서비스 지원을 위한 AI 오케스트레이터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중 자원 할당(연산, 저장, 네트워크) 문제 해결을 위해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엣지 컴퓨팅 아키텍처에서의 탄력적인 콘텐츠 캐싱을 통해 네트워크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또한, 클라우드/엣지 인프라의 가상화 기반 다중 자원 관리 기술 연구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자원 운용을 가능하게 하여, 복잡한 데이터 트래픽과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합니다. 이를 통해 미래 통신 환경의 핵심 인프라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관련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갑니다. |
| 연구 3 | AI 기반 지능형 데이터 스토리지 및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
| 내용 |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의 효율성과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강화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모바일 기기의 파일 접근 패턴을 예측하는 지능형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발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데이터 접근 속도를 최적화합니다. 또한, Put 오브젝트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 오브젝트 스토리지 시스템 및 동작 방법을 연구하여 대용량 데이터 환경에서의 스토리지 성능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보존하면서 비디오 캐싱을 최적화하는 연합 학습 시스템 개발에 주력하며, 분산된 데이터 환경에서 개인 정보 보호와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의 균형을 맞추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데이터 양이 폭증하는 현대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 관리의 지능화와 보안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클라우드, 엣지 환경에서 데이터 저장 및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민감한 정보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차세대 데이터 인프라의 핵심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
대외활동
| 활동 내용 | [수상 내역] - 지도학생이 제27회 삼성 휴먼테크논문대상 동상 수상 (이동통신망 품질개선 알고리즘 연구) |
학력
| 학력 사항 | 2011.02 한국과학기술원(학사)/전기및전자공학과 2013.02 한국과학기술원(석사)/전기및전자공학과 2018.02 한국과학기술원(박사)/전기및전자공학과 |
보유 기술 로딩 중...

